1. 중요 폴더&파일 conf : 아파치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요청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 정의한 설정 파일 htdocs : 문서, 이미지, 데이터 등 클라이언측에 제공하려는 것들이 담겨져 있다. logs :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기록하는 로그 파일들 2. 아파치 실행 순서 아파치 실행 -> 아파치는 자기 자신이 감시하고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의 포트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기를 기다리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조용히 동작함 -> 요청이 들어오면 아파치는 자신이 담당한 일을 수행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로그 파일에 기록함 3. 아파치 실행 옵션 httpd -D : 지시자에서 사용할 이름 정의 -d : ServerRoot 디렉토리 정의 -f : ServerConfig 파일 정의 ..
1.클라이언트 측에서 하는 일 -주소창에 도메인 입력 ->TCP를 이용해 IP 주소에 접속한 후 GET,POST등의 메소드를 서버로 보냄 -> 서버측의 응답을 받고 세션 종료 2.서버 측에서 하는 일 - 브라우저로 부터 URL을 받아 파일명으로 변환 - 그 파일을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로 응답해 출력 *virtual host :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부여된 ip주소에 여러 개의 도메인 이름을 매핑하여 각기 다른 ip 패킷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, 여러 개의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. : 아파치의 httpd.conf파일의 제일마지막에 include 시킬 수 있음ex) ServerAdmin DocumentRoot ServerName ServerAlias ErrorLog CustomL..
Akamai Korea - Tech Day (2015/03/11) HTTP/2 from BrandonK 공식 사이트 : https://http2.github.io/ HTTP/2의 특징1.SPDY를 기반으로 발전된 단계2.HTTP 1.1의 단점인 HOL과 무거운 HEAD를 개선함 - HEAD를 Huffman Coding 방식으로 압축함, 이전에 보낸 HEAD를 다음요청에서 생략함 3. HEAD와 BODY를 FRAME으로 묶어 보냄4.응답은 stream형태로 받음4.중복 헤드의 경우 다음 요청 시 생략함5.응답의 우선순위화 : 우선순위가 높은 응답을 먼저 한다
http://webtn.tistory.com/30 웹 개발하다보면 cross domain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....해결책은?? 내가 아는 해결책은 5가지 정도 있다. (저 위에 블로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음) 1.document.domain 설정하기 (도메인은 같으나 서브도메인이 다른 경우에만 가능) -통신할 2개의 html 파일에 모두 을 설정하면 도메인을 강제로 1개로 맞춰서 통신이 가능하다.2.jsonp 콜백함수 활용 -jsonp자료형으로 ajax통신을 하면 도메인이 다른 경우에도 콜백 메소드를 받을 수 있다.(단 get으로만 가능)3. Iframe proxying -이건 중간에 프록시 파일(php)을 하나 만들어 그 파일을 거쳐서 통신하는 방법, 스크립트 -> php -> 다른 도메인 으로 접..
http://nuts84.tistory.com/46
어플리케이션으로 부터 IRP통신으로 데이터를 받아올때 변화무쌍하게 드라이버가 멈추더라... 로그 분석을 못해서 무슨에러인지도 모르겟고.... 삽질만 계속햇네 그러다가 우연히 이게 Kernel Stack Overflow에러인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이 땜에 디버깅시에 드라이버가 계속 멈춘다...1)http://blogs.msdn.com/b/ntdebugging/archive/2008/02/01/kernel-stack-overflows.aspx 2)http://msbang.co.kr/80160589995 3)http://process3.blog.me/20057201409
mac주소, ip, port등의 필터링방법http://nanstrong.tistory.com/247